◇ 공매도란 무엇일까?
: 공매도의 개념, 이해
공매도. 한자로는 空賣渡라고 쓴다. 빌공(空). 비어 있는 것, 즉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이다. 팔 물건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판다는 뜻이다.
주식시장에서 말하는 공매도는, 팔 수 있는 실제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고,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 공매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무차입 공매도 (naked short selling)와, 차입 공매도 (covered short selling)이다.
무차입공매도는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먼저 판 다음, 다음 결제일 전에 시장에서 주식을 사서 반환하는 방식이다.
차입 공매도는 한국예탁결제원이나 증권사 등에서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주식을 빌려서 미리 팔고, 추후에 주식을 되사서 갚는 것이다. 이것을 숏커버링(short covering)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식 없이 공매도하는 무차입 공매도는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의 '공매도'라고 하면 '차입공매도'를 의미한다.
◇ 공매도는 왜 하는 걸까?
공매도는 추후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될 때,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 방식이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자. 이럴 때 당장 A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A기업 주식을 빌려서 10만원에 일단 팔 수 있다. 그리고 며칠 후에 A기업의 주식이 예상대로 5만원으로 떨어졌다. 그럼 공매도한 투자자는 5만원에 동일한 수량의 A기업의 주식을 사서 빌렸던 주식을 갚으면 된다. 10만원에 판 주식을 5만원 주고 사서, 되갚으면 되는 것이다. 그럼 5만원만큼의 수익을 거두는 셈이다. 이는 결국, 5만원에 사서 10만원에 판 것이다.
하지만 주가가 예측대로만 움직이지는 않는다. 공매도 투자자는 예측이 틀렸을 경우의 손실 위험도 물론 감수해야 한다.
A기업의 주식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해 10만원에 공매도했는데, 예상과 달리 갑작스런 호재가 생겨 주식이 15만원으로 상승했다. 이 경우에 공매도 투자자는 당연히 15만원을 주고 사서 되갚아 주어야 한다. 따라서 5만원의 손실을 입게 된다.
◇ 공매도를 둘러싼 논란, 부작용
공매도를 이용하면 주가각 하락할 때도 수익을 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선이 많다. 주식시장에서 약세장이 전망될 때 공매도 거래가 몰리면 시장은 빠르게 공황상태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식을 미리 빌려서 팔고 추후에 갚는 방식이다 보니, 이익을 얻기 위해 공매도 후에 주가를 하락시키는 방향으로 시장을 조작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매도가 순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많다. 공매도가 선물이나 옵션처럼 투자 상품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시장의 규모를 키우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또한 공매도 부작용에 우려에는 정확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경제, 재태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스키 모델(하이먼 민스키) : 버블은 어떻게 붕괴되는가? (0) | 2020.03.15 |
---|---|
민스키 모멘트란? : 민스키 이론, 금융위기의 시발점 (0) | 2020.03.14 |
선물과 옵션이란? : 선물옵션 만기, 콜옵션, 풋옵션, 만기일 등. (0) | 2020.03.11 |
주식매매 방법, 용어 해설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등) (0) | 2019.04.12 |
토스 적금! 연4% 금리에 0.2%더 받으세요!! (0) | 201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