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스키 모멘트란?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 또는 민스키 이론이라고도 한다.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이먼 민스키(Hyman Minsky, 1919~1996)가 주장한 경제 이론이다.
과도한 부채의 확대에 기대어 경기 호황이 이루어지다가, 이 시기가 끝난 뒤에는 은행에 빚을 가진 채무자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진다. 결국은 채무자가 건전한 자산까지 팔아서 빛을 갚으면서, 금융시스템이 붕괴되고 금융위기를 초래하는 시점이 오는데, 민스키 모멘트란 이 시점을 의미한다. 즉, 금융위기의 시발점을 뜻한다.
금융시장이 호황일 때, 투자자들은 호황이 계속 이어질 거라 생각해 빚을 지나치게 끌어다 쓰고, 고위험의 상품에 투자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금융시장의 가격은 상승하고, 규모 또한 확대된다.
그러나 그 이후, 투자가 과열되고 리스크가 커지면서, 시장의 상승이 둔화되고 투자자들의 기대만큼 수익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투자자들은 부채 상환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게 되고, 부채를 갚기가 점점 어려워 진다.
그러면 손해를 입은 투자자들은 건전한 자산까지 매각하고, 상환을 요구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금융시장이 긴축되고 자산 가격이 떨어지게 되면서 금융위기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러한 민스키의 이론은 당시 주류 경제학계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한 이론이었다. 하지만 민스키 사후 1998년 러시아 채무 위기 상황에서, 경제학자인 폴 매컬리가 민스키의 이론을 사용하며 '민스키'라는 이름에 시점이라는 뜻의 '모멘트'를 결합해 '민스키 모멘트'라는 용어를 쓰면서 주목 받았다. 이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다시 한번 크게 재조명 받게 되었다.
'경제, 재태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드캣 바운스란? (뜻, 경제, 재태크, 주식, 용어) (0) | 2020.03.16 |
---|---|
민스키 모델(하이먼 민스키) : 버블은 어떻게 붕괴되는가? (0) | 2020.03.15 |
공매도란? : 공매도의 개념, 종류, 공매도 논란, 부작용 (0) | 2020.03.13 |
선물과 옵션이란? : 선물옵션 만기, 콜옵션, 풋옵션, 만기일 등. (0) | 2020.03.11 |
주식매매 방법, 용어 해설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등) (0) | 2019.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