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재태크 이야기

서킷브레이커란? : 주식, 경제 용어, 개념

반응형

서킷브레이커란 무엇일까?

 

서킷브레이커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갑자기 크게 하락할 때, 주식 매매를 잠시 정지시키는 제도다. 

영어로 Circuit Breaker라고 하는데, 첫자를 따서 CB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킷브레이커는 원래 과열된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래서 주식시장이 급락으로 과열될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시시키는 제도를 서킷브레이커라 부르게 되었다. 주식시장의 갑작스러운 패닉을 막기 위한 완충장치라고 할 수 있다.

 

 

서킷브레이커는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세분화 되어있다.

 

서킷브레이커 1단계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 이상 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1단계가 발동되면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정지된다. 그 후 10분간 단일가 매매로만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후 장이 재개된다.

 

서킷브레이커 2단계

전일에 비해서 종합주가지수가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가 발동된 지수에서 1%이상 추가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2단계가 발동되면 1단계와 똑같이 20분간 거래가 정지되고, 그 후 10분동안 단일가 매매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서킷브레이커 3단계

전일에 비해서 종합주가지수가 20%이상 하락하고, 2단계가 발동된 지수에서 1%이상 추가적으로 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3단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면 모든 주식거래가 종료된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 시작 후 5분이 지난 후부터, 장이 끝나기 40분 전(오후 2시 50분)까지만 발동할 수 있다. 단, 3단계는 장이 끝날 때까지 발동할 수 있다. 그리고  서킷브레이커는 각 단계별로 하루 한번만 발동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