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IX지수란 무엇일까?
최근 주가가 급등락을 하면서 VIX지수가 많이 언급되고 있다. VIX(빅스)는 Volatility Index의 약자로, 변동성 지수라고 이야기한다.
VIX지수는, 시카고 옵션거래소에 상장된 S&P 500지수 옵션과 관련하여, 앞으로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지수를 나타낸다.
(S&P 500지수는 미국의 Standard & Poor사가 정한 500개의 대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주가지수로,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다.)
VIX지수와 증시는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VIX지수가 상승한다는 것은, 변동성이 커지고, 투자자들의 불안함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곧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VIX지수를 공포지수라고도 부른다.
만약 반대로 VIX지수가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면,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안정적이라고 보고 있다는 의미이다.
한국의 코스피와 관련된 한국판 VIX지수도 있다. 브이코스피(V-KOSPI)지수라고 부르며, 2009년 4월에 처음 발표되었다. 브이코스피는 코스피200옵션가격을 이용해 코스피200지수의 변동성을 나타낸다.
반응형
'경제, 재태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커 룰(Volcker Rule)이란? (0) | 2020.03.28 |
---|---|
서킷브레이커란? : 주식, 경제 용어, 개념 (0) | 2020.03.23 |
달러 인덱스란? (U.S. Dollar Index) (0) | 2020.03.18 |
데드캣 바운스란? (뜻, 경제, 재태크, 주식, 용어) (0) | 2020.03.16 |
민스키 모델(하이먼 민스키) : 버블은 어떻게 붕괴되는가?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