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란? (U.S. Dollar Index)
달러 인덱스란 무엇일까?(U.S. Dollar Index) 달러인덱스란, 통화 가치가 비교적 안정적인 6개 나라의 통화 - 유로(EUR), 일본 엔(JPY), 영국 파운드(GBP), 캐나다 달러(CAD), 스웨덴 크로네(SEK), 스위스 프랑(CHF)- 를 기준으로, 미국 달러화의 수치를 지수화해서 나타낸 지표다. 주요 화폐의 가치 대비 달러 가치의 움직임을 알아보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이다. U.S. Dollar Index를 줄여서 USDX라고도 한다. 6개 통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 국가의 경제 규모, 미국과의 교역 비중 등에 따라 다르다. 유로는 57.6%, 일본 엔 13.6%, 영국 파운드 11.9%, 캐나다 달러 9.1%, 스웨덴 크로나 4.2%, 스위스 프랑 3.6%의 비중으로 되어있다. 달러..
민스키 모멘트란? : 민스키 이론, 금융위기의 시발점
민스키 모멘트란?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 또는 민스키 이론이라고도 한다.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이먼 민스키(Hyman Minsky, 1919~1996)가 주장한 경제 이론이다. 과도한 부채의 확대에 기대어 경기 호황이 이루어지다가, 이 시기가 끝난 뒤에는 은행에 빚을 가진 채무자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진다. 결국은 채무자가 건전한 자산까지 팔아서 빛을 갚으면서, 금융시스템이 붕괴되고 금융위기를 초래하는 시점이 오는데, 민스키 모멘트란 이 시점을 의미한다. 즉, 금융위기의 시발점을 뜻한다. 금융시장이 호황일 때, 투자자들은 호황이 계속 이어질 거라 생각해 빚을 지나치게 끌어다 쓰고, 고위험의 상품에 투자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금융시장의 가격은 상승하고, 규모 또한 확대된다. 그러..
선물과 옵션이란? : 선물옵션 만기, 콜옵션, 풋옵션, 만기일 등.
◇ 선물 파생상품 중 하나로, 먼저 매매 하고 나중에 물건을 인수, 인도하는 방식이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래의 일정 시점에 미리 결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것을 약속하는 거래다. 다시 말해 현재 시점에서 정해진 가격으로 계약을 하는데, 물품은 미래에 인수, 인도 하는 것이다. 만약 미래에 어떠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지금 결정한 가격으로 매수, 반대로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지금 결정한 가격으로 매도를 정하는 것이다. 그 차액으로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선물 만기일 : 선물 계약한 물건을 인수, 인도하는 날. 선물 만기일인 3, 6, 9, 12월의 두 번째 목요일이다. ◇ 옵션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일정한 시점, 혹은 일정한 기간 안에 상품 또는 유가증권과 같은 자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