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42)
서킷브레이커란? : 주식, 경제 용어, 개념 서킷브레이커란 무엇일까? 서킷브레이커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갑자기 크게 하락할 때, 주식 매매를 잠시 정지시키는 제도다. 영어로 Circuit Breaker라고 하는데, 첫자를 따서 CB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킷브레이커는 원래 과열된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래서 주식시장이 급락으로 과열될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시시키는 제도를 서킷브레이커라 부르게 되었다. 주식시장의 갑작스러운 패닉을 막기 위한 완충장치라고 할 수 있다. 서킷브레이커는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세분화 되어있다. ▷서킷브레이커 1단계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 이상 하락한 경우에 발동된다. 1단계가 발동되면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정지된다. 그 후 10분간 단일가 매매로만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후 장이 재개된다..
VIX 지수란? : 변동성 지수, 공포지수, 빅스지수 VIX지수란 무엇일까? 최근 주가가 급등락을 하면서 VIX지수가 많이 언급되고 있다. VIX(빅스)는 Volatility Index의 약자로, 변동성 지수라고 이야기한다. VIX지수는, 시카고 옵션거래소에 상장된 S&P 500지수 옵션과 관련하여, 앞으로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지수를 나타낸다. (S&P 500지수는 미국의 Standard & Poor사가 정한 500개의 대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주가지수로,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다.) VIX지수와 증시는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VIX지수가 상승한다는 것은, 변동성이 커지고, 투자자들의 불안함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곧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VIX지수를 공포지수라고도 부른다.만약 반대로 VI..
달러 인덱스란? (U.S. Dollar Index) 달러 인덱스란 무엇일까?(U.S. Dollar Index) 달러인덱스란, 통화 가치가 비교적 안정적인 6개 나라의 통화 - 유로(EUR), 일본 엔(JPY), 영국 파운드(GBP), 캐나다 달러(CAD), 스웨덴 크로네(SEK), 스위스 프랑(CHF)- 를 기준으로, 미국 달러화의 수치를 지수화해서 나타낸 지표다. 주요 화폐의 가치 대비 달러 가치의 움직임을 알아보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이다. U.S. Dollar Index를 줄여서 USDX라고도 한다. 6개 통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 국가의 경제 규모, 미국과의 교역 비중 등에 따라 다르다. 유로는 57.6%, 일본 엔 13.6%, 영국 파운드 11.9%, 캐나다 달러 9.1%, 스웨덴 크로나 4.2%, 스위스 프랑 3.6%의 비중으로 되어있다. 달러..
데드캣 바운스란? (뜻, 경제, 재태크, 주식, 용어) 데드캣 바운스란 무슨 뜻일까?(Dead Cat Bounce) 데드캣 바운스란 주식시장에서 자주 쓰이는데, 주가가 크게 폭락을 하다가 잠깐 반등하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이다. 데드 캣 바운스를 영어로 쓰면 Dead Cat Bounce인데, 약자로 DCB라고도 많이 쓴다. 대드캣바운스란 말은 월가의 유명한 증시 격언인 "Even a dead cat will bounce if it falls from a great height."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죽은 고양이라 할지라도 아주 높은 곳에서 떨어진다면 튀어 오른다'로 해석할 수 있다. 월가에서는 '죽은 고양이의 반등을 주의하라'는 말로도 자주 쓰인다고 한다. 죽은 고양이처럼 이미 폭락할 상황의 주가라도, 크게 떨어지면 짧은 반등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하..
민스키 모델(하이먼 민스키) : 버블은 어떻게 붕괴되는가? 민스키 모델 : 거품은 어떻게 형성되고 붕괴되는가? 금융시장의 자산 붕괴, 버블이 붕괴되며 폭락할 때의 모형으로 자주 언급되는 '민스키 모델'이다. 미국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Haman Minsky)'가 주장한 이론이다. 민스키 이론에 따른, 거품의 생성과 붕괴의 과정은 다음 그래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래프를 보면, 먼저 현명한 투자자(스마트 머니)들이 먼저 투자하여 천천히 자산 가격이 상승한다. 그 완만한 상승 후 1차 현금화가 이루어지며 1차 하락이 발생한다. 그 후 하락에서 다시 차츰 상승하며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되고, 이후 대중들의 참여로 급격히 자산의 가격이 폭등하게 된다. 이에 열광, 탐욕을 거치며 서서히 대중들은 환상을 가지게 된다. 그 후 거품 논란이 일지만 '새로운 논리'가 등장하며..
민스키 모멘트란? : 민스키 이론, 금융위기의 시발점 민스키 모멘트란?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 또는 민스키 이론이라고도 한다.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이먼 민스키(Hyman Minsky, 1919~1996)가 주장한 경제 이론이다. 과도한 부채의 확대에 기대어 경기 호황이 이루어지다가, 이 시기가 끝난 뒤에는 은행에 빚을 가진 채무자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진다. 결국은 채무자가 건전한 자산까지 팔아서 빛을 갚으면서, 금융시스템이 붕괴되고 금융위기를 초래하는 시점이 오는데, 민스키 모멘트란 이 시점을 의미한다. 즉, 금융위기의 시발점을 뜻한다. 금융시장이 호황일 때, 투자자들은 호황이 계속 이어질 거라 생각해 빚을 지나치게 끌어다 쓰고, 고위험의 상품에 투자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금융시장의 가격은 상승하고, 규모 또한 확대된다. 그러..
공매도란? : 공매도의 개념, 종류, 공매도 논란, 부작용 ◇ 공매도란 무엇일까? : 공매도의 개념, 이해 공매도. 한자로는 空賣渡라고 쓴다. 빌공(空). 비어 있는 것, 즉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이다. 팔 물건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판다는 뜻이다. 주식시장에서 말하는 공매도는, 팔 수 있는 실제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고,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 공매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무차입 공매도 (naked short selling)와, 차입 공매도 (covered short selling)이다. 무차입공매도는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먼저 판 다음, 다음 결제일 전에 시장에서 주식을 사서 반환하는 방식이다. 차입 공매도는 한국예탁결제원이나 증권사 등에서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주식을 빌려서 미리 팔..
선물과 옵션이란? : 선물옵션 만기, 콜옵션, 풋옵션, 만기일 등. ◇ 선물 파생상품 중 하나로, 먼저 매매 하고 나중에 물건을 인수, 인도하는 방식이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래의 일정 시점에 미리 결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것을 약속하는 거래다. 다시 말해 현재 시점에서 정해진 가격으로 계약을 하는데, 물품은 미래에 인수, 인도 하는 것이다. 만약 미래에 어떠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지금 결정한 가격으로 매수, 반대로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지금 결정한 가격으로 매도를 정하는 것이다. 그 차액으로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선물 만기일 : 선물 계약한 물건을 인수, 인도하는 날. 선물 만기일인 3, 6, 9, 12월의 두 번째 목요일이다. ◇ 옵션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일정한 시점, 혹은 일정한 기간 안에 상품 또는 유가증권과 같은 자산을..

반응형